소설 작법) 스토리텔링에서 체크할 사항은?(ft. <팔리는 콘텐츠의 비밀>) > 고객센터

본문 바로가기

소설 작법) 스토리텔링에서 체크할 사항은?(ft. <팔리는 콘텐츠의 비밀>)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Ada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-03-26 18:04

본문

오늘은 소설작법 위 책에서 인상적이었던 조언을 소개해볼까 합니다.​© stickermule, 출처 Unsplash​등장인물을 한 세대에 치우치게 만들지 말자76~78쪽같은 세대만 등장시키지 말자. 자기가 만들어놓은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들 사이에 나이차가 별로 없다는 것은 주체를 협소하게 만든다.​예를 들어 학창물이더라도, 십대들의 풋풋한 로맨스나 과중한 학습 부담에 얽힌 고민, 이유없는 반항이나 방황만으로는 스토리를 끌고 갈 힘이 부족하다. 이를테면 풋풋한 로맨스를 살려주기 위해서 그 순수함과 비교되는 이해타산적 현실, 즉 어른들의 세계가 소설작법 그려지면서 순수함과 배치되게 만드는 것이 좋다. ​20대 청춘물도 그들이 고민하고 배회할 만한 충분한 이유로서의 세계, 즉 사회가 보여야 한다. 그리고 그 사회를 대표하는 기성세대가 등장해야 비로소 20대 청춘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보편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이다.​특정 세대가 사회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게 아님을 명심하라.​© lucian_alexe, 출처 Unsplash​하나의 사건으로 모든 등장인물을 엮지 않는다86~89쪽당신이 절정 고수가 아니라면, 하나의 사건만으로 스토리를 끌고가서는 안 된다. 크고 작은 여러 소설작법 가지 사건을 설정하고, 각각의 사건들이 스토리의 각 부분에서 등장인물을 지탱해줄 대 보다 밀도 높은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.​사건이란 게 꼭 규모가 크고 이슈가 될 만큼 진지한 것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. 어느 날 낮잠을 자다가 꾼 꿈이 사건이 될 수도 있고, 시내 한복판 포장마차에서 거나하게 술을 마시다가 빌딩 숲 사이에서 화장실을 못 찾고 노상방뇨를 하는 것도 사건이 될 수 있다.​등장인물을 설정했으면 만들어놓은 인원수만큼의 사건을 소설작법 만들어야 한다. 등장인물마다 각자 사건을 따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. 그리고 가급적이면 이 사건들은 서로 별개의 내용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. 하나의 사건에 여러 인물들을 엮지 말라는 말이다. 그리고 각각의 인물들은 만들어진 사건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. 아직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여도 괜찮다.​사건의 규모는 전혀 상관이 없고, 만약에 심리적인 것을 기반으로 해 사건을 구성했다면 반드시 물리적인 상황으로 귀결되게끔 만들어야 한다.​그 사건들을 서로 얽히게끔 소설작법 만드는 작업은 나중으로 미뤄도 된다.​© kinli, 출처 Unsplash시대적 배경을 설정할 때 체크해야 할 사항들104~105쪽시대적 배경은 소설에 드러낸 내용보다 더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. 최소한 작가는 알아야 한다.그렇다면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까?시대-원시, 고대, 중세, 근대, 현대, 미래, 구체적인 연도계급-계급구분 기준과 영향력종교-어떤 종교이고 어떤 교리를 갖고 있는지, 일신교인지 다신교인지. 다신교라면 각각의 교리는 어떤지.정치-왕정, 사회주의, 전체주의, 민주주의, 공산주의언어-국가별로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지역사-설립부터 현재까지의 역사, 주변국과의 관계인종-인종과 종족윤리-윤리적 소설작법 체계와 덕목, 그 덕목이 어떤 계급에까지 적용되는지경제- 경제체제, 화폐 통용 기준, 물가, 주로 거래되는 것학문-학문적 체계, 발달한 학문,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예술-문화와 예술의 발달 정도, 어떤 형식의 예술이 성행했는지, 향유 계층은 어디까지인지기타© cdd20, 출처 Unsplash© ⚖????????, 출처 OGQ© santesson89, 출처 Unsplash© CoolPubilcDomains, 출처 OGQ공간적 배경을 설정할 때 체크해야 할 사항들107~108쪽지형-전체 지도, 지형도마을-마을 구분, 크기, 위치, 인구수국가-지도 안에 존재하는 국가들의 지리적 경계, 크기, 인구수, 위치주거형태-마을 소설작법 단위 주거형태도시-국가의 도시적 구분, 지리적 구분, 크기, 위치, 인구수생태적 환경-산, 바다, 숲, 강, 호수, 사막 등. 어떤 국가에는 어떤 산이 있는지, 그곳에는 어떤 나무와 동물들이 주로 사는지, 기후에 따라 어떤 변화가 있는지© sanaea2562, 출처 Unsplash© rbrooklyn, 출처 Unsplash© elladekross, 출처 Unsplash© pigleting, 출처 Unsplash복선과 단서를 까는 법132~133쪽스토리에서 결정적이고 중요한 단서를 처음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. 그리고 스쳐지나가듯 가볍게 다루고 넘어간다.​이러한 배치는 일종의 복선을 까는 소설작법 작업인데, 별것 아닌 것처럼 살짝 보여주고 지나가되, 절대로 모든 걸 다 드러내지 않는 형식을 취해야 한다. 상세히 설명하고 시작하는 것은 복선으로서 아무런 효과를 얻들 수 없다. 처음부터 드러내놓고 그것이 나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처럼 보여주면 어떻게 반전이나 극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?​처음에는 사소하게 여기고 넘어갔던 것들이 나중의 결과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었다는 걸 깨달았을 때 극적인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.​© ffstop, 소설작법 출처 Unsplash#소설쓰기#소설작법#작법서추천#스토리텔링#콘텐츠#시나리오#게임#이야기#단서#복선#시간적배경#공간적배경#캐릭터#사건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
대표자 : 신동혁 | 사업자등록번호 : 684-67-00193

Tel. : 031-488-8280 | Mobile : 010-5168-8949 | E-mail : damoa4642@naver.com

경기도 시흥시 정왕대로 53번길 29, 116동 402호 Copyright © damoa. All rights reserved.